반응형

반야심경 (feat 법륜스님) 3

우리말 반야심경

우리말 반야심경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by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강의)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발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고통에서 건너느니라 사리자여!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 수 상 행 식도 그러하니라 사리자여!모든 법은 공하여 나지도 멸하지도 않으며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느니라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색이 없고 수상행식도 없으며 안이비설신의도 없고 색성향미촉법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고 무명도 무명이 다함까지도 없으며늙고 죽음도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고고집멸도도 없으며 지혜도 얻음도 없느니라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

반야심경을 공부하는 이유

반야심경을 공부하는 이유반야심경을 공부하는 이유로는 반심경은 대승불교의 사상중 핵심인 공 사상을 중점으로 만들어진 경전입니다. 곧 공사상이 본질이 되어 깨달음에 도달하도록 가르침을 주는 경전 중 하나입니다. 중생들은 세상살이의 괴로움으로 힘들어합니다. 불교에서는 중생의 괴로움을 삶의 변화와 불확실성에 대해 고집하거나, 우리의 욕심과 소망이 충족되지 않을 때 나타나는 정서적 또는 심리적인 고통이라 해석합니다. 불교의 관점에서는 이 괴로움이 존재하는 이유는 욕심과 소망, 무지와 착각으로부터 비롯된다고 설명합니다. 불교는 삶의 고통의 근본 원인을 생명이 있는 것은 죽어도 다시 태어나 생이 반복된다고 하는 윤회이며, 이는 욕심의 존재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무엇인가를 원하고, 그것이 충족되지 ..

반야심경

반야심경반야심경은 불교의 중요한 경전중의 하나로 부처님의 말씀을 모아둔 팔만대장경 가운데 하나 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일려진 경전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반야심경을 독송하지만 그 뜻은 깊고, 심오하여 정확한 의미를 아는 사람들은 드뭅니다. 반야심경은 불교가 과학에 근거 한다는 관점을 가장 잘 뒷받침 하는 경전중에 하나 입니다. 불교와 과학적인 관계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습니다. 불교는 종교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철학적이고 심리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여기서는 불교와 과학의 관련성을 몇 가지 측면을 세가지로 간추려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심리학과 명상의 연구입니다.  불교는 수천 년간 명상을 통해 내면 평화와 깨달음을 추구해 왔습니다. 현대 과학은 명상이 정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