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라면 직장인, 재직자 대출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걱정됩니다.
첫 대출이라면 이자 상환 방식을 어떻게 선택해야 할지도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입니다.
내 형편과 상황에 맞는 직장인 대출 이자 상환 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자 상환 방식에는 아래 3가지가 있습니다.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 / 원금 균등 분할 상환 / 만기 일시 상환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
정의
원금은 이자를 제외하고 대출을 받는 원래의 금액
원리금은 원금과 함께 부과되는 이자를 합한 금액(원금 + 이자)
즉 대출 원금과 이자를 합친 금액인 원리금을 만기일까지 균등하게 상환하는 대출 상환 방식
원리
원금은 매달 갚아 나가는 만큼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줄어든 원금만큼 그에 대한 이자도 감소함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원금이 줄어들어도 매달 갚아나가는 원리금은 항상 일정하도록 설계한 상환 방식
장점
매달 내야 하는 납부금이 동일하여 자금 관리면에서 유리함.
30년 만기로 원리금 균등 상환을 하다면 30년 동안 매달 은행에 내는 납부금이 같음
고정지출을 고려해서 가계 흐름을 꾸릴 때 계산하기 편리함
원금 균등 분할 상환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후반에 더 많은 돈을 내야 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등을 고려하면 유리함.
단점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 방식이 원금 균등 분할 방식보다 총 상환하는 원리금이 높게 나온다.
원금 균등 분할 상환보다는 아주 조금이나마 금리가 높다.
정리
초반에 갚을 수 있는 여유자금이 있다면 원금 균등 방식이 더 맞을 것이고,
매월 상환하는 상환금액에 부담을 느낀다거나 일정한 수입이 있다면 초기 부담금이 적은 원리금균등 방식이 접근하기 쉽다.
원금 균등 분할 상환
정의
대출 기간의 일정 기간마다 대출 원금에 대해서는 매월 동일한 금액으로 상환하고 남은 대출 원금에 대한 이자를 상환하는 방식
원리
즉 매달 갚아나가는 원금이 일정하고 이자가 변하는 상환 방식
원금은 그대로 + 이자는 남은 원금 대시 산출됨
종류
즉시 분할 상환 방식
원금을 바로바로 상환하는 방식
거치식 분할 상환 방식
일정기간 동안 이자만 납부한 후 원금을 천천히 상환하는 방식
원리금 상환에 비해 초기 부담하는 비용은 높지만 총이자금액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다.
화폐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 낮아지게 땜누에 일반적으로 상환기간이 15년 이내면 유리한 상환 방식
장점
원금 납부에 따른 대출 금액이 감소함에 따라 이자도 같이 줄어들기 때문에 자금적 여유가 생겨서 중도상환으로 원금을 추가로 갚게 되면 그만큼 이자는 더 줄어들게 된다.
단점
매달 납부하는 액수가 일정하지 않기에 자금 관리하는 것이 불편하고, 대출 원금이 거의 그대로인 상환 초기에는 더 많은 이자를 내가 하기에 부담이 다.
정리
시간이 흐를수록 매월 대출 원금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자도 줄어들어 총이자금액이 가장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출 초기에는 대출 원금이 그대로여서 이자액이 높기 때문에 갚아야 할 상환액도 크게 적용된다.
대출 초반에 높은 금액을 상환할 능력이 되지만, 대출 후반에 자금 융통성 불확실할 경우 후반에 내는 대출금을 적게 내고 싶을 때 좋은 상환 방식이다.
만기 일시 상환
정의
대출 기간 동안 이자만 부담하고 만기에 대출을 모두 상환하는 방식
장점
매월 이자비용만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다른 상환 방식보다 자금의 활용성이 높다.
단점
대출 원금이 줄어들지 않아서 다른 방식에 비해 이자 비용이 가장 높다.
정리
장기적인 대출보다는 소액 대출을 받는 경우에 적합하다. 수입이 일정치 않아서 원금을 마련할 시간이 필요하거나, 전세 자금등 목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적합한 방식이다.